반응형
나날이 치솟는 물가가 감당이 되지 않아 대중교통비라도 절약해 보기 위해 고민하시는 분들을 위해 알뜰교통카드를 소개해 드리려고 합니다. 그럼 지금부터 대중교통비 절약 꿀 팁인 알뜰교통카드란 무엇인지부터 사용방법과 발급 신청 방법까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.
알뜰교통카드
금리인상과 물가인상 등으로 고통받고 있는 서민들을 위해 대중교통비 지출의 부담을 일부 절감시키는 정책으로써 이와 동시에 개인의 자발적인 보행 및 자전거 등 친환경 교통수단을 활성화시킬 수 있는 새로운 수요관리 정책입니다.
반응형
알뜰교통카드 사용방법
교통비 절감을 위한 마일리지 적립 방법
- 출발지에서 대중교통 승차태그 사이의 보행 또는 자전거 이동거리
- 대중교통 하차태그에서 도착지 사이의 보행 또는 자전거 이동거리
- 위 1과 2의 합산한 이동거리를 교통비 절감을 위한 마일리지로 적립
대중교통을 이용한 이 외의 수집 된 걸음 수는 마일리지에 적립되지 않습니다.
교통비 절감을 위한 마일리지 적립 조건
- 보행 또는 자전거로 이동한 거리는 최대 800m 800m까지 차등 적립
- 보행 또는 자전거로 이동한 거리는 월 15회 이상 최대 44회 분까지 적립
- 충청남도 방문 시 충남버스에서 수도권 1호선 환승 시 적립
- 충청남도 도민의 경우 충남버스에서 타 지역 버스 환승 시 적립
알뜰교통카드 종류 및 지급방식
- 후불카드로 알뜰교통카드를 이용 시: 우리카드와 신한카드, 하나카드에서만 체크카드 또는 신용카드로 발급 가능하며 지급방식은 아래와 같습니다.
- 체크카드
- 신한카드: 5 영업일 계좌로 입금
- 우리카드: 5~8 영업일 계좌로 입금
- 하나카드: 내 결제일에 계좌로 입금
- 후불카드
- 신한카드: 결제대금에서 차감
- 우리카드: 결제대금에서 차감 / 결제대금이 없는 경우에는 월 초 5~8 영업일
- 하나카드: 내 결제일에 결제대금에서 차감
- 체크카드
- 선불카드로 알뜰교통카드를 이용 시: 티머니페이와 모바일캐시비, 원패스로 이용 가능하며 선불카드는 NFC 기능이 필요하기 때문에 아이폰을 사용하시는 분들은 사용이 불가하며 지급방식은 아래와 같습니다.
- 티머니페이
- 전월 실적 기준으로 매월 16일에 지급
- 적립 된 T마일리지로 제로페이x알뜰교통카드 잔액을 충전하여 사용 가능
- 모바일캐시비
- 매월 10일 모바일캐시비 앱의 “선물함”으로 지급
- 매월 10일~17일 오전 10시 내 마일리지를 수락하여야 하며 미수락 시에는 최대 1회 다음 달로 이월 가능
- 원패스
- 전월 실적을 기준으로 매월 55 영업일에 지급
- 지급된 마일리지를 충전금으로 전환하여 대중교통 요금 지불 가능
- 티머니페이
알뜰교통카드 발급 신청 방법
알뜰교통카드 신청 방법
- 검색창에서 “알뜰교통카드” 검색 후 홈페이지에서 “카드신청” 클릭
- 신한카드와 우리카드, 그리고 하나카드 중 원하는 카드 신청하기 클릭
- 알뜰교통카드 앱 설치 후 회원가입 하기
알뜰교통카드 발급 가능 지역
- 수도권: 서울, 경기, 인천
- 수도권 외 광역시: 부산, 대구, 대전, 광주, 울산
- 수도권 외 특별자치시/도: 세종특별자치시, 제주특별자치도
- 충청북도: 청주, 옥천, 제천
- 충청남도: 전역
- 전라북도: 전주, 완주, 익산, 남원, 군산, 정읍
- 전라남도: 무안, 순천, 신안, 목포, 여수, 해남, 나주, 광양
- 경상북도: 포함, 경주, 영주, 김천, 영천, 구미, 상주, 경산. 칠곡
- 경상남도: 창원, 거제, 김해, 밀양, 산청, 진주, 창녕, 양산, 통영, 고성, 사천, 함안
- 강원도: 춘천, 강릉, 원주
반응형